
정부는 65세 노인 빈곤율이 OECD 국가중 1위로 기초생활 보장 수준을 대폭 강화하는 종합 계획을 발표했습니다. 기초생활 수급자 중 생계급여 선정기준에 대해서 자세히 확인해보겠습니다. 기준중위소득 얼마? 2017년도부터 생계급여 선정기준은 7년간 기준 중위소득의 30%를 유지했었습니다. 기초수급자 중 생계급여 선정기준을 확인해보면 현행 30%, 24년 32% 향후 26년까지 기준 중위소득의 35%까지 상향한다는 정책발표인데요. 이렇게 되면 생계급여 수급자는 26년까지 21만명 추가돼 더 많은 대상자가 생계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여기서 기준중위소득이란 국민 가구 소득의 중간값을 정해 정부에서 하는 복지 지원사업의 혜택을 받을 기초수급대상자 선정기준에 활용하고 있습니다. 기초생활수급자가 아니더라도..

정부지원사업에서 늘 나오는 말은 기준중위소득입니다. 기준중위소득은 매년 바뀌기 때문에 꼭 확인이 필요합니다. 2023년 30%~200%까지 기준중위소득과 지원혜택까지 꼼꼼히 알아보겠습니다. 기준중위소득이란? 기준중위소득이란 국민 가구 소득의 중간값이라고 보면 됩니다. 기준중위소득을 구하는 이유는 정부에서 하는 복지지원사업에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수급자 선정기준에 활용하기 위해서입니다. 기준 중위소득 50%구간 아래로는 기초생활수급자를 정하게 되며 생계급여, 의료급여, 주거급여, 교육급여 대상자를 선정하게 됩니다. 그 밖에 기준 중위소득 구간에 따라 각종 지원금을 나누게 됩니다. 2023년 현재 우리가정의 기준중위소득 어디쯤에 해당되는지 꼭 알아야 하기 때문에 대상자확인 방법은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확인..